본문 바로가기
A

동물끼리는 어떻게 의사소통할까요?

by happinn 2025. 2. 20.
반응형

여러분은 사람은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대화를 하여 소통하는데 말하지 못하는 동물들은 어떻게 동물끼리 소통을 할 수 있을까요? 인종이 다른 사람끼리는 각자의 언어를 쓰게 되기 마련인데 동물들도 각자의 언어가 있을지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한 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통이 꼭 필요한 이유

 

 

 

 

 

 

소통은 자연에서 그들이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열쇠입니다. 소통하지 못한다면 무리에서 벗어나게 되거나 가족들, 또는 자기 자신이 위험에 처하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동물의 종류도 많고 많은 종류인 만큼 소통의 방식도 다양하고 복잡하기 마련입니다. 

 

 

 

 


2. 소통을 하는 방법

 

 

 

 

종류가 다양한 만큼 소통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기 마련입니다. 동물들의 의사소통 방식은 냄새, 음성, 몸짓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만 우선 우리 주변에서 잘 볼 수 있는 동물들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개와 강아지: 개와 강아지는 짖는 소리로 감정을 표합니다. 경계할 때는 공격적인 음성과 무언가 바라는 것이 있고 도움을 청할 때는 히잉 거리는 음성, 자기 자신이 위협을 느낀다거나 싫음을 분명히 하고 싶을 땐 으르렁거리는 음성 등이 있고 몸짓으로 소통할 때를 알아보면 산책하러 나가고 싶을 땐 문 앞에 서 있거나 목줄의 위치를 알고 그 앞에 서 있는 행동을 보일 때가 있으며 놀아 주기 원할 땐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들고 오기도 하며 신기하게도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몸짓으로 표현합니다. 또 후각이 발달해 있어서 냄새로 다른 강아지와 교감을 하기도 합니다. 산책을 종종 나가다 보면 배설물들이 있을 때도 있는데 그것의 냄새를 맡으면서 그 강아지의 성별, 건강 상태나 먹었던 먹이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몸짓과 자세로 소통을 많이 하게 되는데 고양이들 사이에서 친밀감을 나타낼 때 나오는 행동인 꼬리 감싸기, 아주 반갑고 자기가 좋아하는 친밀한 사이인 관계에서는 몸 비비기 등의 행동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이 행동들은 가까운 친구 사이이거나 상대방에게 마음을 많이 연 상태에서 나오는 행동들이고 당신을 신뢰하고 좋아한다는 메시지를 담기도 합니다. 또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고 내가 좋아하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흉내 내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표정으로 의사소통하기도 하는데요. 내 반려동물의 표정 + 음성 + 행동까지 합쳐지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시간이 지나면 안 봐도 척척 알아듣고 소통이 가능합니다.



개와 고양이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이 소통하는 것에 있어서 각자만의 방식과 규칙이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은 또 어떻게 각자 소통하고 있을까요? 



돌고래 : 돌고래는 아이큐가 높아 똑똑한 지능을 가진 바다의 해양 생물입니다. 그들의 행동과 소리로 소통을 보통 합니다. 주로 음파를 만들어 사용하여 소통하고 클릭 소리, 고주파, 휘파람과 비슷한 소리 등을 낸다고 합니다. 클릭 소리는 돌고래가 사냥을 나갈 때 주변 환경을 잘 확인 할 수 있도록 내는 소리이며, 돌고래는 각자 자신만의 고유의 휘파람 소리는 가지고 있는데 이 소리로 각자의 감정을 공유하며 상호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또 몸을 수면위로 들어 올리는 등과 같은 행동으로도 소통하는데 이런 소통들이 자신이나 무리에 위협이 될 때나 협동하기 위함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합니다.



새: 각자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데 보통 노랫소리, 날갯짓, 울음소리 등을 통해 소통이 가능한데 이런 행동을 통해 영역을 지키거나 파트너를 찾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노래를 통해 위험을 알리거나 경고를 보내는 일부 새들도 있으며 이 노랫소리로 건강 상태나 어디 사는지 성별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노랫소리 말고도 직접 말을 가르치는 훈련을 하면 인간과도 말할 수 있는 앵무새도 있습니다. 



원숭이 : 원숭이는 사람이 진화되기 전의 모습과 제일 유사합니다. 그들은 그들끼리 울음소리로 보통은 소통하곤 합니다. 이런 울음소리는 상대에게 다가오지 말라는 경고, 짝짓기를 하기 위한 부름, 경고 신호 등이 포함 되어있죠. 음성의 의사소통 외에도 시각적으로도 소통을 하는데 꼬리의 움직임, 표정, 신체 자세 등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곤 합니다. 또 악수, 껴안기, 뽀뽀 돌아다니는 이를 제거 해주는 그루밍 등으로 신체적인 의사소통도 같이하는 동물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