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나면 보지 못할 수 있는 동물들을 우리는 멸종위기에 속한 동물들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에 속한 우리나라의 동물들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 멸종위기에 속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와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멸종위기에 속한 동물들
전 세계적으로 많은 멸종위기 동물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계라고 하니 멀게 느껴져서 크게 와닿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 소중한 개체들이지만 오늘 주제는 바로 우리나라의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를 나타내는기준을 나누는 급수가 있습니다 .1급과 2급으로 나누어지며 1급은 야생에서 절멸될 동물들을 말하고 2급은 자연적인거나 인위적으로 개체수가 줄어 보전이 필요한 동물들을 뜻합니다.
1급 멸종위기 동물: 야생에서 절멸될 동물들이라고하면 보통 생각나는 이미지가 떠오르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늑대, 호랑이, 반달가슴곰, 산양, 수달, 시라소니 등 포유류 뿐만 아니라 박쥐등과 같은 여러종류가 1급으로 나누어 져있습니다.
2급 멸종위기 동물: 개체수가 점점 줄어는 보전이 필요한 2급 동물에는 담비, 물개, 물범, 하늘다람쥐, 삵 등 이름만 들으면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들이 많습니다.
2.멸종위기가 되는 이유
멸종위기가 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무분별하게 그들이 살고 있는 서식지를 파괴해 살곳을 잃게 만들어버리고 불법으로 포획하고 밀렵하여 개체수를 줄게하거나 지금 최대 이슈인 지구온난화가 한 몫하게 됩니다.
지구가 급격하게 온도가 오르게 되고 그 환경에 맞게 살던 생명체들이 급격하게 바뀌는 환경, 그로 인해 정해져있던 먹이 사슬이 깨지게 되고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인간은 다양하게 에너지를 섭취합니다. 인간이 섭취하는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과 곡식 등을 먹고 사는데 지구온난화로 먹이 사슬이 깨지게 되면 멸종위기 동물들 뿐만 아니라 지구의 인간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동물들이 살기가 힘들어집니다.
또 뉴스에서도 지구온난화와 비등하게 말이 많았던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습니다. 번식력은 빠르고 기존에 있던 우리나라의 생명체들을 먹이로 일삼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개체수가 현저히 줄고 있습니다.
3.극복하는 방법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뿐만 아닌 전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개체를 보존하고 이어나가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 훼손된 서식지를 다시 복원하고 서식지의 환경을 보존하고 보호하며 서식지의 환경을 개선해야하며, 함부로 불법 포획하고 밀렵할 수 없도록 그에 대한 처벌 강화를 하며 멸종 위기에 대한 보호 법규를 강화 해야합니다.
또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인공적으로 수정시켜 개체수를 늘려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증식 복원 사업에도 귀를 귀울여야하며 멸종위기에 대한 심각성과 중요성에 대한 것들을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게 잘 알려야하며 시민들의 적극적이고 많은 참여를 유도 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평소 일상에서 할 수 있는 보호 방법에 대해 쭉 말씀 드려 보겠습니다.
우선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관심을 가지는 일이 제일 첫번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불법으로 포획하거나 밀렵하는것을 보게 된다면 즉시 신고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것은 환경이 오염 되지 않게 하는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멸종위기의 동물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앞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생태계가 지구온난화로 부터 파괴가 된다면 동물 뿐만 아닌 인간도 멸종 위기 뿐만 아닌 더한 상황의 고통속에서 살아가야하지 않을까요?
그렇기에 환경을 보존하여 집에서 할 수 있는 작은 일 부터 하는 것입니다. 분리수거나 세제 사용 줄이기,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거나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과 같이 작은것부터 모두 손을 모아 실천한다면 보다 더 쾌적하고
살기 좋은 세계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환경오염을 막기 위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꾸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내 일이 아니야 하며 무관심하게 넘어가지말고 하나하나가 내 일인것처럼 생각하는 것입니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늘어나는 유기견 막을 순 없을까 (0) | 2025.02.17 |
---|---|
강아지 입양 전 신중하게 고려야 할 점 (0) | 2025.02.16 |
바다의 포식자 범고래에 대하여 (0) | 2025.02.16 |
강아지들의 질병과 원인에 대하여 (0) | 2025.02.14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진돗개의 역사와 특징 (0) | 2025.02.10 |